PLAYD | 인사이트 | 뉴스레터
본문 바로가기

👀 이상보다 '진짜 삶' 공유하는 시대

바빠서 최근 업계 뉴스/마케팅 트렌드
챙기기 어려운 마케팅 플레이어 주목!
트렌디한 당신을 위한 플레이디 트렌드 뉴스레터
💌P'letter(플레터)💌가 업무 시작 전, 하루 5분!
트렌드를 담아 전달드립니다😁
🎈이번주 트렌드 한 접시 메뉴
■ '보통의 집(Normal House)' 트렌드
■ 이제 다이소도 '건기식' 판다
■ Google Search Forward 2025
■ 1년 새 챗GPT 구독 300% 증가
최근 틱톡에서 '보통의 집(Normal House)'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일상 그대로의 집을 촬영해 SNS에 업로드하는 것인데요. 싱크대 위에 쌓인 설거지, 정리되지 않은 신발장, 바닥에 널브러진 옷가지 등을 여과 없이 공유하며 '있는 그대로'의 삶을 보여주는 것이 목적입니다🌞

🏡 이상보다 '진짜 삶'을 공유하는 시대

'보통의 집' 트렌드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현대 소비자들의 가치관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흐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스스로를 비교하며 느꼈던 피로감을 솔직한 콘텐츠로 해소하려는 욕구가 이 트렌드를 견인하고 있죠. 실제 이 콘텐츠를 본 누리꾼들은 "현실적이어서 좋다", "내 집은 다른 집들처럼 깨끗하지 않다는 생각에 스트레스를 받아왔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공감을 나타냈습니다.


사용자들은 점점 더 현실적인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삶 전반에 걸쳐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려는 움직임으로 확장되고 있죠. 지난해 MZ세대 사이에서 유행한 비리얼(BeReal), 로켓 위젯(Rocket Widget) 등의 무보정 SNS 플랫폼이 인기를 끌었던 맥락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데요. 이상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보다 소비자의 실제 생활에 공감하고 친근하게 다가가는 콘텐츠 전략이 주목될 것으로 보입니다.

구글이 선택한 광고대행사는 어떤 점이 다를까요?

플레이디가 최근 구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Google Search Forward 2025> 행사에 참여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플레이디 주요 광고주 계정에 맞춘 구글 광고 최적화 전략을 논의하고, 2025년도 구글 광고 운영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구글 광고를 고민하고 있다면, 구글과 긴밀한 파트너십으로 더 좋은 성과를 만들어내는 플레이디와 함께 시작해 보세요! 

✔ 1년 새 챗GPT 구독 300% 증가
지난해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 건수가 크게 늘었습니다🚀 KB국민카드의 구독 결제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챗GPT·클로바X 등 생성형AI 이용 건수는 1년 새 299% 증가했습니다. 또한 생성형AI 유료 구독 고객 10명 중 3명은 7개월 이상 서비스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성형 AI 다음으로는 생활·건강(59%), 쇼핑·배달(34%) 등의 구독이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설문조사 응답자 중 두 개 이상의 서비스를 구독하는 경우는 74%, 전체 평균 구독 개수는 월 5.8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네이버·카카오, 올해 신규 AI 서비스 쏟아진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올해 AI 서비스 확장에 속도를 냅니다🚀 네이버는 이르면 다음 달 검색에 AI 검색 요약 서비스 'AI 브리핑'을 적용합니다. 또한 4월 공개 예정인 네이버플러스스토어 앱에서도 AI 기술을 활용한 개인화된 쇼핑 추천 기능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카카오는 오픈AI와 협력해 카카오 플랫폼을 넘나드는 AI 비서 서비스를 연내 출시할 계획이며, 카카오톡·카카오맵에서 개인화 추천을 강화한 'AI 메이트' 기능을 접목할 예정입니다👀

✔ 5성급 호텔까지, 커지는 테이블오더 시장
테이블오더 시장에 배민, 토스, 쿠팡 등 주요 기업들이 속속 진출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업계 1위 사업자 '티오더'는 5성급 호텔 중심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며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호텔 내 비대면 주문 서비스 ‘아이스테이’ 운영 확대와 인근 식당 배달 서비스까지 준비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는 중입니다🚀 티오더는 이 외에도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 확장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 심화되는 '쿠팡 쏠림' 현상
온라인 식료품 구매에서 쿠팡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오픈서베이의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응답자의 55.4%가 온라인 플랫폼 중 쿠팡에서 식료품을 구매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2년 전보다 15.3%P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어 컬리 8.6%, 네이버쇼핑 8.4%, 홈플러스몰 5.6%, 이마트몰 5.0%, G마켓(지마켓) 3.1%, SSG닷컴(쓱닷컴) 2.9% 순으로 이용했습니다. 쿠팡은 월평균 구매 빈도(3.72회)에서도 1위를 차지했습니다. 다만 1회 평균 구매액과 월평균 지출액은 이마트·SSG닷컴이 더 높았습니다
둘째주·넷째주 수요일 오전 10시
읽어볼 만한 광고·마케팅·트렌드 소식을
한 번에 모아 메일에 쏙! 넣어드릴게요😉
혹시 플레터에 의견이 있다면 여기에 남겨주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