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D | 인사이트 | 뉴스레터
본문 바로가기

🤖 올해부터 AI 가상직원 근무 시작

바빠서 최근 업계 뉴스/마케팅 트렌드
챙기기 어려운 마케팅 플레이어 주목!
트렌디한 당신을 위한 플레이디 트렌드 뉴스레터
💌P'letter(플레터)💌가 업무 시작 전, 하루 5분!
트렌드를 담아 전달드립니다😁
🎈이번주 트렌드 한 접시 메뉴
■ 10주간의 변화, 10편의 인쇄 광고
■ 전자제품계 다이소? 30만 원대 노트북 인기
■ 2025 손해보험 업종 트렌드 리포트
 AI 가상직원, 올해부터 근무 시작
디지털 광고가 대세로 자리 잡은 오늘날, 전통적인 인쇄 광고로 대중의 관심을 사로잡는 일은 쉽지 않은데요. 최근 스포츠웨어 브랜드인 크래프트가 인쇄 광고만의 매력을 극대화한 캠페인을 선보이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광고일지 함께 살펴볼까요?😊

10주간의 변화, 10편의 인쇄광고🏃🏻‍♀️🏃🏻‍♂️
크래프트는 이번 인쇄 광고 캠페인에서 10주 동안의 러닝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10편의 광고를 제작하며 인쇄 매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캠페인은 초보 러너가 매주 5km씩 달리며 기록한 속도,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 등의 변화를 실시간 데이터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는데요. 이 데이터는 매주 신문 지면에 실려 독자들에게 러닝이 가져다주는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생생히 전달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단순히 "달리기는 신체적·정신적으로 좋다"라는 메시지에 그치지 않고, 과학적 실시간 데이터와 결합한 스토리텔링으로 차별화된 크리에이티브를 완성했습니다. 10주간의 변화를 10편의 광고로 담아낸 크래프트의 인쇄 광고 캠페인, 디지털 시대에 인쇄 광고가 가진 매력을 제대로 보여준 좋은 사례가 아닐까요? 올해 크리에이티브한 마케팅을 계획하고 계신다면 참고해보셔도 좋겠습니다😎
플레이디에서 <Trend Delivery 2025 손해보험 업종> 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고령화와 경쟁 심화로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손해보험 시장 내에서 변화를 기회로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트렌드를 살펴봅니다.

📢 2025 손해보험 업종 트렌드 키워드 <S.T.A.R.T>

[S] Slowdown in Growth : 비우호적 대외 환경에 성장성 둔화 전망

[T] Tougher Competition : 인구 구조 변화와 시장 포화, 타 업권 진출 등으로 경쟁 심화

[A] Attracting Broader Targets : 초고령화로 2030과 시니어로 확장되는 보험 소비층

[R] Reliance on Face-to-Face Channels : 타 업권 대비 디지털화 정체, GA와 대면 채널 우세

[T] Technology Integration : 보험에 기술이 접목된 인슈어테크 보험업 혁신 기술로 주목

✔ 오픈AI 'AI 가상직원' 올해부터 근무 시작
오픈AI는 올해부터 'AI 가상 직원'을 도입해 기업의 노동 인력으로 활용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AI 직원은 'AI 에이전트'라는 이름으로 사람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합니다🤖 AI 에이전트는 복잡한 작업을 계획하고, 추론 및 실행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반복적인 단순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오픈AI는 1월 말 '오퍼레이터'라는 AI 에이전트를 출시할 예정이며, 구글·MS 등도 유사한 AI 비서를 개발 중입니다. AI 에이전트는 직장 내 업무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 5060 소비 주체로 부상, 40대는 위축
서울시50플러스재단의 보고서에 따르면, 5060세대의 소비가 증가하며 이들이 소비 주체로 떠오른 반면 40대는 경제적 부담과 가계 변화로 소비가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50대 이상은 온라인 소비가 크게 증가했으며, 40대는 유통, 식생활 등에서 소비 증가율이 둔화되었습니다. 50대 초반은 교육비 부담📖도 크게 늘어났습니다. 출산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50대의 자녀 교육비 부담이 커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60대 초반은 문화센터에 대한 소비가 높아 교육에 대한 열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다음, 국내 검색 엔진 점유율 4% 아래로
다음(Daum)의 국내 검색 점유율이 4% 아래로 떨어지며📉 MS bing에 3위 자리를 위협받고 있습니다. 지난해 점유율은 네이버(58.14%), 구글(33%), 다음(3.72%) 순으로 집계됐으며, MS bing은 2.91%로 빠르게 추격 중입니다💨 다음 점유율은 1.66% 하락한 반면, 네이버는 2.71% 상승해 격차가 더욱 벌어졌습니다. 카카오는 하락세를 막기 위해 9년 만에 다음 앱을 전면 개편하고,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와 단계적 업데이트로 방어할 계획입니다.
✔ OTT·뮤직·웹툰 결합하는 이통사
이동통신 3사가 다양한 OTT 번들 상품을 선보이며 매출 증대를 노리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T 우주패스'를 통해 넷플릭스와 웨이브를 결합한 상품을 제공하며, 유튜브 프리미엄과 다양한 쿠폰 혜택을 추가했습니다🎁 KT는 스타벅스와 결합한 OTT 상품을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고, LG유플러스는 더블 스트리밍과 함께 유튜브 프리미엄, 디즈니플러스 등을 선택할 수 있는 1+1 구독팩을 운영 중입니다. 2030을 중심으로 니즈가 많은 만큼 업계에서는 이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상품 출시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둘째주·넷째주 수요일 오전 10시
읽어볼 만한 광고·마케팅·트렌드 소식을
한 번에 모아 메일에 쏙! 넣어드릴게요😉
혹시 플레터에 의견이 있다면 여기에 남겨주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