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D | 인사이트 | 뉴스레터
본문 바로가기

🌞 MZ세대 가고 OOOO 세대 온다

바빠서 최근 업계 뉴스/마케팅 트렌드
챙기기 어려운 마케팅 플레이어 주목!
트렌디한 당신을 위한 플레이디 트렌드 뉴스레터
💌P'letter(플레터)💌가 업무 시작 전, 하루 5분!
트렌드를 담아 전달드립니다😁
🎈이번주 트렌드 한 접시 메뉴
■ 2024 Trend Delivery 뉴시니어 리포트
■ 기상천외한 마케팅, 코카콜라X오레오 콜라보 화제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눈'·'귀' 달았다
MZ세대 다음으로 주목해야 할 소비층은? 바로 '뉴시니어'입니다👴🏻🧓🏻
최근 수많은 업계에서는 초고령화 시대를 앞두고 차세대 소비 주역으로 떠오른 '뉴시니어'를 조준하기 위해 분주한 모습인데요. 이번 플레이디가 발간한 <Trend Delivery - 뉴시니어> 트렌드 리포트에서 뉴시니어의 특성 및 소비패턴, 미디어와 비즈니스 현황까지 한눈에 살펴보세요!👀

📌 2024 Trend Delivery 뉴시니어 트렌드 리포트 맛보기 
  • 노인으로 불리기 싫은 뉴시니어, 세대를 초월한 젊은 라이프스타일 추구
  • '웰에이징(Well-aging)' 꿈꾸는 뉴시니어, 건기식·헬스케어 수요 확대
  • 유튜브 헤비유저 시니어, 'OO플루언서'로 부상
  • 시니어 세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SNS 1위는 'OOOOO'
  •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뉴시니어 소비패턴 따라 진화하는 '시니어 비즈니스 2.0'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눈·귀' 달았다
네이버의 초거대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HCX)에 '눈'과 '귀'가 생겼어요. 네이버는 클로바X에 시각 정보 처리 능력을 추가한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번 업데이트로 이용자들은 클로바X 대화창에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AI와 대화할 수 있게 됐어요😊 이제 사진 속 상황을 묘사하거나 상황을 추론하는 등 다양한 지시를 수행할 수 있다고 해요. 또 네이버는 음성 AI 기술인 '스피치X'도 공개했는데요. 사람처럼 감정 표현도 가능하다고 해요. 추후 네이버는 스피치X를 고도화해 개인화 음성 서비스, 실시간 음성 번역, 감정 표현 음성 합성, 대화형 AI 응답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계획이에요💨
✔ '내 손안에 비서' AI폰 3파전
삼성전자, 구글, 애플이 서로 다른 매력으로 하반기 인공지능(AI) 스마트폰 대전에 본격 뛰어들 전망이에요👀 삼성전자는 AI폰 시장의 포문을 연 갤럭시S24 시리즈 출시 이후, 갤럭시Z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는데요. 여기서 삼성전자는 갤럭시 AI '통역' 기능을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웠어요. 구글은 AI 모델인 제미나이에 기반해 구글 앱과 연동한 맞춤형 일정 예약 기능을 강조했어요. 애플은 다음 달에 자사 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 일부를 탑재한 '아이폰16' 시리즈를 공개할 예정인데요. 한층 진화된 음성 챗봇 시리와 챗GPT가 결합한 텍스트 작성 기능이 돋보일 것으로 예상돼요😮
✔ 스레드, 1년 만에 SNS 새 강자 등극
메타의 스레드가 출시 1년 만에 국내외에서 고공행진하고 있어요📈 최근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스레드 앱의 국내 MAU가 1년 만에 169% 급증했어요. 메타 플랫폼과의 연동, 사용자 중심의 편안한 대화 환경을 조성한 것이 인기 비결로 꼽혀요. 반면 다른 SNS 앱은 전년 동기 대비 X는 15%, 인스타그램 14%, 틱톡은 8% 상승했고 네이버밴드와 페이스북은 각각 3%, 14% 감소했어요🤔 추후 메타는 스레드에 개방형 소셜 네트워킹 프로토콜인 '액티비티펍'을 지원할 예정인데요. 이를 사용하면 모든 SNS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스레드 사용자가 타 SNS의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어요. 액티비티펍 도입 이후, 스레드 이용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여요. 
✔ 네이버 클립, 1030세대 사용자 사이 인기
네이버 숏폼 서비스 '클립'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요🎈 클립은 올 1~7월 사용자 수, 영상 재생 수, 콘텐츠 생산량 모두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냈는데요. 지난달 기준 사용자 수는 올해 1월보다 3배 증가했고, 영상 재생 수는 같은 기간 5배나 늘었어요. 콘텐츠 생산량도 이 기간 5배 증가했고요. 클립의 성장 요인은 다른 숏폼 서비스와 달리 장소 중심의 콘텐츠가 특화됐다는 것, 그리고 1030세대의 호응이 꼽혀요. 추후 네이버 클립은 올 하반기 크리에이터 광고 수익 공유 프로그램을 정식 출시함과 동시에 '유튜브화'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에요.
둘째주·넷째주 수요일 오전 10시
읽어볼 만한 광고·마케팅·트렌드 소식을
한 번에 모아 메일에 쏙! 넣어드릴게요😉
혹시 플레터에 의견이 있다면 여기에 남겨주세요❤
위로가기